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메기 효과란?

by 복탐 2022. 4. 16.
반응형

뉴스나 경제신문 기사를 읽다 보면 '메기 효과'란 표현이 자주 등장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메기 효과는 보통 유망주 기업이 새롭게 떠오르거나 강력한 경쟁자가 나타났을 때 사용합니다.

경제뿐만 아니라 정치, 스포츠 분야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메기 효과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메기 효과란?

메기 효과는 정체된 생태계에 강력한 포식자나 경쟁자가 나타나면 기존의 생물들이 생존을 위해 더 활발히 움직인다는 뜻입니다.

다만 정확한 유래는 알려지지 않았고 과거 유럽의 어부들이 이 효과를 활용했다는 주장이 제일 설득력이 있어 보입니다.

메기 효과 용어 유래

과거에는 바다에서 잡은 정어리를 항구까지 운반하는 과정에서 많은 수의 개체가 폐사하는 게 골칫거리였습니다.

그런데 정어리가 가득 담긴 수조에 천적인 메기를 넣어봤더니 정어리 생존율이 오히려 높아진 결과가 나왔습니다.

몇 마리 정도는 잡아먹혔지만, 오히려 나머지 개체는 살아남기 위해서 꾸준히 움직였기 때문에 살 수 있었던 것입니다.

메기 효과라는 용어는 바로 여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메기 효과 의미

이 말은 즉, 결국 누구든 생존이 걸린 위기 상황에 직면했을 때 최대한의 잠재력을 발휘한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이 방식을 사회에 적용한다면 치열한 경쟁 환경이 개인이나 조직, 회사의 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뜻으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메기 효과의 사례로 많이 거론되는 것이 바로 스웨덴 대표 가구업체 이케아(IKEA)의 한국 진출입니다.

세계 최대 가구업체인 이케아가 국내 가구시장을 장악할 거라는 우려가 있었지만, 이케아를 상대하기 위해 국내 가구 업체들이 경쟁력을 높이면서 다행히 우려하던 일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국내 업체들의 가구 품질이나 서비스가 더 좋아지는 긍정적인 역할을 해줬습니다.

물론 반론도 있습니다.

메기 효과는 회사에서 직원 간 경쟁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의 근거로도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때 강자의 약자 억압이나 직원들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행위를 합리화한다는 지적입니다.

실제로 과학자들이 제한된 공간 안에 포식자와 먹이를 넣어두는 실험을 해봤더니, 스트레스를 받은 먹이 개체들의 면역력이 약화돼서 사망률이 더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